민족대명절인 설날이 다가왔습니다. 오랜만에 휴일이라 집에서 쉬는 분들도 계시겠지만, 아직까진 고향에 계신 부모님들을 찾아뵙는 집도 있고, 우리집으로 온다고 명절음식도 준비해두시면서 아이들을 기다리는 부모님들도 계실텐데요. 부모님댁을 찾아가는 자식들 입장에서는 만나게될 조카들에게 얼마나 줘야할까? 댁에서 기다리고 계실 부모님들은 내 손주들에게 얼마를 챙겨줘야할까 고민이 되실텐데요! 오늘 설날 세뱃돈에 대해서 과연 조카들에게는 얼만큼의 금액에 세뱃돈으로 적정한걸까요? 그리고 며느리에게도 챙겨줘야하는걸까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날 세뱃돈의 의미
설날 세뱃돈은 새해의 행운과 축복을 담아 어른들이 아이들에게 주는 전통적인 문화입니다. 세뱃돈은 단순히 돈을 주고받는 것이 아니라, 어른들의 따뜻한 마음과 아이들의 건강과 성장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나이대별 세뱃돈 적당 금액
바로 본문으로 들어가볼텐데요. 과연 나이대별로 얼마가 적당할까요?
세뱃돈의 적당 금액은 아이의 나이, 관계, 경제 상황 등을 고려하여 결정해야 합니다. 최근에는 고물가 상승으로 인해 세뱃돈 적정 금액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습니다. 다음은 2024년 설날 세뱃돈의 적당 금액을 나이대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1. 미취학생 (3-5세)
1만원~3만원: 그림책, 장난감 등을 구매할 수 있는 금액 현금보다는 상품권 또는 장난감 선물 고려: 어린 아이들은 돈의 가치를 잘 모르므로, 상품권이나 장난감 등을 선물하는 것도 좋습니다.
2. 초등학생 (6-12세)
3만원~5만원: 용돈, 간단한 소원을 충족할 수 있는 금액 취미 활동 관련 상품권 또는 문화생활 경험 선물 고려: 악기, 운동 용품, 공연 관람 등 아이의 취미 활동 관련 상품권이나 문화생활 경험을 선물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3. 중고등학생 (13-18세)
5만원~10만원: 학용품, 용돈, 소원을 충족할 수 있는 금액 진학 또는 취업 준비 관련 경제적 지원 고려: 고등학생의 경우, 진학 또는 취업 준비를 위한 경제적 지원으로 세뱃돈을 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4. 성인 (19세 이상)
10만원 이상: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 현금보다는 상품권 또는 실용적인 선물 고려: 성인에게는 현금보다는 상품권, 기념품, 실용적인 선물 등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설날 세뱃돈 며느리에게도 줘야할까?
설날 세뱃돈을 며느리에게 줄지 여부는 개인의 가치관과 상황에 따라 결정됩니다. 며느리에게 세뱃돈을 주는 것은 의무사항이 아니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주는 것이 좋습니다.
- 가족으로서의 유대감 강화
세뱃돈은 가족 구성원들에게 새해의 축복과 행운을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며느리에게 세뱃돈을 주는 것은 그녀를 가족 구성원으로 인정하고, 따뜻한 마음을 전하는 좋은 방법입니다.
- 감사와 존경 표현
며느리는 가족의 일원으로서 헌신적으로 노력합니다. 세뱃돈을 통해 며느리의 노고에 대한 감사와 존경을 표현할 수 있습니다.
- 화목과 행복 유지
며느리에게 세뱃돈을 주는 것은 가족 간의 화목과 행복을 유지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사회적 관습
한국 사회에서는 며느리에게 세뱃돈을 주는 것이 일반적인 관습입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세뱃돈을 주지 않아도 됩니다.
- 경제적인 어려움이 있는 경우
- 며느리가 세뱃돈을 받는 것을 원하지 않는 경우
- 며느리와의 관계가 좋지 않은 경우
세뱃돈을 주기로 결정했다면, 다음 사항을 고려해야 합니다.
- 며느리의 나이
- 며느리와의 관계
- 자신의 경제 상황
일반적으로 며느리에게는 5만원~10만원 정도의 세뱃돈을 주는 것이 적당합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한 사항들을 고려하여 적절한 금액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결론적으로, 설날 세뱃돈을 며느리에게 줄지 여부는 개인의 가치관과 상황에 따라 자유롭게 결정할 수 있습니다. 며느리에게 세뱃돈을 주는 것은 가족 간의 유대감 강화, 감사와 존경 표현, 화목과 행복 유지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올 한해에도 읽어주신 독자분들 모두 건강하시고 행복하시기를 바랍니다.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2024.02.05 - [정보] - 민족대명절 설날에 대해 알아보자. 설연휴,전통,음식 총정리 -1-
민족대명절 설날에 대해 알아보자. 설연휴,전통,음식 총정리 -1-
2024년 2월 9일 금요일부터 민족대명절인 설날의 연휴가 시작된다. 설날은 어떤 의미가 있으며, 설날에는 무엇을 하면서 보내는지. 무엇을 먹고, 어떤 전통이 있었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설날, 새
bunchofknowledge.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캠코인의 위험성, 예방방법, 감별법 (0) | 2024.02.12 |
---|---|
숏박스 코인 사태 요약 (0) | 2024.02.12 |
2024년 미국 대통령 선거 전망,후보 비교 (0) | 2024.02.07 |
코리아 디스카운트 원인 및 개념, 주식시장 밸류업 방법 (0) | 2024.02.06 |
2024년 02월 07일 대한민국 요르단 아시안컵 4강 일정,전력비교 (0) | 2024.02.06 |